고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지난 포스팅은 고미술 위주로 했는데 이번엔 현대미술 작품을 살펴보기로 한다
자꾸만 집으로 초대한다기에 들어간다
이 방이 참 단아하고 좋았다
그냥 편안해서 오래 머물고 싶었던 김환기 화백의 방
역기 그가 좋아했다는 달항아리
우리나라 추상화를 이끌었던 김환기화백이 제대로 대접받고 있는 느낌이다
김환기의 <산울림19-II-73#307>
[이 작품은 대형 화면을 점으로 가득 채워, 마치 밤하늘을 수놓은 광대한 별자리처럼 보인다
바닥에 광목을 놓고 아교칠을 한 곳에 푸른점을 무수히 채워넣어 한지에 먹이 번지는 듯한 효과를 연출했다고 한다
파란 점들이 이루는파동이 합쳐져 광대한 우주의 에너지를 품은 듯 하다]
이렇게 설명이 되어있지만
제목이 산울림이라 적혀있으니 난 다르게 보인다
별, 우주를 떠올리기 보다는 수많은 속삭임이 담긴 것 처럼 보인다
가까운 산, 저 멀리에 있는 산들에서 울려오는 이야기들이 점점이 몰려오는 느낌이 든다
제목을 먼저 보면 상상력에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건희 회장은 박수근작품의 진가를 미리 알아봤었는지
박수근작품을 엄청 많이 보유하고 있었나보다
지난 번 덕수궁에서 열린 박수근작품전에도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작품들이 엄첨 많았던 기억이 있다
박수근 미술관을 건립할 때 많은 작품을 기증했었나보다
그 가족에게는 무척 고마운 일이었겠다
이제 이중섭을 만날 차례다
황소를 만났다
이 황소를 그릴 때의 이중섭의 패기있는 작품들을 더 만나고 싶은데
저렇게 힘찬 붓터치로 그리던 화가의 패기를 더 오래 갖고 있을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
이중섭<춤추는가족>
가족과 함께 했던 행복한 기억을 이렇게 춤으로 표현했다
이중섭을 떠올리면
아무리 힘들어도 가족이 함께 있었어야 했다는 생각이 늘 아쉽다
혼자서 외로이 지내며 가족이 함께 어울려 춤추는 가족의 모습을 많이 그렸다
이중섭<판잣집과 화실>
좁은 판잣집에서 그림을 그리다 잠시 망중한의 시간을 갖는 모습이 해학적이다
그림을 빼면 누울 자리하나 겨우 남는다
사실 제주의 이중섭이 살던 단칸방을 보면
이 좁은 공간에서 어찌 네 식구가 살았을까 궁금하기까지 했다
남루한 삶에도 그림에 대한 열정 하나로 버텨낸 화가의 모습에서 연민이 느껴진다
현해탄이라는 이 작품에선 가족을 만나러 가는 화가의 기쁨이 절로 묻어난다
통통배로 언제 현해탄을 건널 지 마음은 바쁘기만 한데
그래도 화가의 표정에서 행복감이 넘쳐난다
무수한 밤을 이 꿈으로 채웠으리라
곽인식의 작품 87-A1
흡습성이 좋은 얇은 화지에 색점을 무수히 찍어 물감이 번지는 효과를 내는 기법의 화가다
색감이 너무 예뻐서 한참을 서성이다 이 작품을 떠날 때 무수히 뒤돌아봤다
이응노의 군상
와 ~~ 이 작품도 실제 만나다니 ...
이응노 화백이 시리즈로 그린 작품 중 하나다
이 작품 속에 있는 인간의 모습 중 똑같은 모습은 어디에도 없다
인간은 독립적인 존재임을 표현하려 한 것 같다
한사람 한사람 들여다보는 재미에 이 작품앞에서도 쉽게 떠날 수 없다
박래현의 <여인과 고양이>
이 화가의 화풍이 너무 좋아 푹 빠졌던 시절이 있었다
고양이를 무릎에 안고 조용히 묵상하는 여인의 뒷쪽엔
거꾸로 매달린 새와 허우적이는 날카로운 발톱이 뭔가 심란하게 한다
그림자까지도 불안감을 조성한다
여인의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그린 것일까
여자로서의 삶을 살아야하고
이름있는 화가의 아내로 살아가면서
자신의 작품에 대한 열정을 풀어내기에는 한없이 고달프고
암담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한 듯 하다
입체감이 너무 좋아 종이를 덧붙여서 표현했나? 하며 자꾸만 가까이 다가갔던 작품이다
이렇게 개성있는 작가 이름에 김기창화백의 아내라는 꼬리표만 강조되는 게 좀 서운하다
어느 시대의 작품엔 김기창의 작품이 박래현의 화풍을 따라가는 듯 보이기도 했다(이느 순전히 내 생각)
김흥수 화백의 독특한 그림도 만났다
이 화백의 그림은 제자가 진가를 알아보고 용기를 북돋아줬다고 한다
색을 다루는 그만의 솜씨가 두드러진다
천경자의 <만선>
천경자라는 화가가 이런 작품도 그렸던가? 하는 반가움이 일었다
색감도 밝아서 오히려 낯설기까지 했다
덧칠하고 덧칠한 붓터치로 입체감이 느껴지고 사물의 질감까지도 느껴진다
전체적인 색감이 파스텔톤이라서 아주 부드럽다
이렇게나 유쾌한 백남준 작품을 본 적이 있었던가
폴카가 연주될 것만 같은 분위기다
이건희 컬렉션에 모네의 수련도 있다고 해서 관심을 받았는데
이 작품은 모네가 시력이 많이 나빠진 상태로 그린게 아닐까 생각된다
디지털 작업으로 바닥에 수련을 비추이니 마치 연못에 서 있는 기분이다
사실 오랑주리 미술관에서 벽을 가득채운 수련을 보고 난 후엔
그 어떤 수련 그림을 봐도 감흥이 일지 않는다
그냥, 음 수련이네 하면서 시니컬한 반응을 보인다
못됐다~~~~
어느 수집가의 집에 초대받아 하루를 작품 감상으로 보냈다
'전시장,그림, 화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리 툴루즈 로트렉 - 귀족이지만 아웃사이더로 산 화가 (0) | 2022.05.24 |
---|---|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 반가사유상 (0) | 2022.05.20 |
고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어느 수집가의 초대 1(겸재 정선, 김득신, 이하응,외 다수 ) (0) | 2022.05.18 |
뮤지엄 산- 안도 타다오, 제임스 터렐관, 명상관, 갤러리 (0) | 2022.05.13 |
화가 박수근, 소설가 박완서 - 두 '나목' 이야기 (0) | 2022.05.08 |